『재미한인 디아스포라 시문학연구』,

최미정, 인터북스, 2010.

 

 

김정기, 최정자, 김윤태, 장석렬
p51 각기 다른 이민의 시기와 동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인 의식이란 바로 경계인, 이방인 의식이다. 뿌리 뽑힘, 고향상실은 모든 디아스포라 문학의 공통된 주제이다. 그들의 작품은 삶의 뿌리가 뽑힌 고향상실자가 진정한 고향을 찾아가는 여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고향은 단순한 지리적인 공간이 아니라 인간의 제자리이며 고향에이 동경과 회귀는 인간의 원초적 갈망이다. 고향상실자가 고향을 그리워하고 고향으로 복귀하려는 것은 자기정체성을 찾고 자기 동질성을 확인하려는 것과 같다. 결국 근원의 문제, 동일성의 문제는 실존의 문제와 같다.

김정기, 최정자, 김윤태

장석렬

고향은 주로 과거 지평위에 존재하며, 돌아가야 할 근원으로 제시된다

고향은 미래 지평 위에 존재하는 이상적인 공간이다.

현재의 삶은 불안과 소외의 공간이다

새로운 고향 만들기가 중요하다

4명의 시인은 그들의 작품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뿌리 뽑힌 자로서의 불안감과 소외감을 극복하고 그들이 발을 딛고 있는 바로 '이곳'에서 뿌리를 내리고 정주하고자 하는 욕망을 갖는다.


 

1. 김정기 시인- 신앙을 통해 근원적 고향을 회복한다

 

가을날/ 한 잎 낙옆되어/ 나 태어난 땅위에/편히 누우리/

한솔기 바람 내 몸을 흔들어/ 인디안의 거친 들판이나/

대륙의 거친 진흙밭에/ 딩굴어/ 어둠으로 삭아진들/마지막 말 한마디 삼켜진들/어떠리

어디나/그 크신 분의 품이니/어떠리/어떠하리. -<낙엽되어> 전문

기독교는 지상의 모든 인간을 낙원을 상실한 자로 간주한다.그래서 기독교는 인간이 발을 딛고 사는 이 땅을 타향처럼 생각하며, 언젠가는 천국으로 돌아갈 것을 믿고 소망한다. 그들은 모두 지상에서 천국이라는 본향으로 돌아가고 있는 도정에 있는 것이다. 시인은 종교를 통해, 잃었다고 발버둥 치며 슬퍼할 것도 없고 지금 가지고 있다고 영원히 내것인 양 놓치 않으려고 움켜쥐고 있는 것도 소용없음을 깨닫는다.

이제 시인은 고향과 타향을 가르지 않고, 스스로를 유배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종교는 사람을 장소에 묶어둘 수도 있고 장소로부터 자유롭게 할 수도 있다. 시인은 신앙 안에서 자유를 누린다. 어디에도 자신이 쉴 땅이 없다고 토로했던 그가 이제는 모든 곳이 다 고향땅인 것 처럼 느낀다.

 

2. 최정자 시인 - 관계 맺음을 통하여 고향이나 다름없는 장소성 획득

 

한국에서 떠나온지 십삼년/ 미국에서 살아온지 십삼년/ 십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나의 강산은 변하고도 남았겠다/

이민 와서 십년 지나면/알러지에 걸린단다/ 나는 알러지에 걸렸을 뿐이다/

어제는 된장찌개/ 오늘은 김치찌개/ 앞으로 십년 넘어 더 산다더라도/ 같은 것을 먹겠지/

손톱발톱 머리카락까지 변함없는/ 오십 몇년전의 나/ 나는 한국이다/

내가 한 발자국 걸으면 거기가 한국이고/ 내가 두발자국 걸으면 거기가 한국이고/ 나는 걷고 또 걷는다/ 걸으면 걷는대로 모두 한국이 됨으로...-<나는 한국이다 1> 전문

시간이 지나면서 뉴욕에도 많은 지인이 생기고 그들과의 관계맺음을 통하여 시인은 혼자라는 소외의식 극복한다. 또한 헤어져 살던 가족들과의 관계가 새롭게 시작되면서 이제는 또 다른 서울, 즉 고향이나 다름없는 장소성을 뉴욕에서 획득한다.

시인은 어디에서 살든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한국인의 유전자를 지닌 한국 사람임을 당당히 선언하듯 말한다. 시인은 "내가 한발자국 걸으면 거기가 한국이고 내가 두 발자국 걸으면 거기가 한국이고," 그리하여 "걸으면 걷는대로 모두 한국이 된다"고 한다.

 

3. 김윤태 시인- '사랑'을 통해 타향에 뿌리를 내려 고향으로 만든다

 

민들레 씨앗이/ 날다가 내리면/

민들레는 거기서/ 집을 짓는다/ 불가사의는/ 이론으로 알 수 없는 신비/

세상은 어딜가나/ 정들면 고향이라 하여선지/

민들레는 거기서/ 꼭/

집을 짓고/ 노란 꽃을 피운다 - <이민> 전문

민들레 씨앗은 그것이 날아온 곳이 고향이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어디에서 왔는가가 아니라 어디어세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우고 있는 가이다. 시인은 사람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세상은 어딜 가나 고향"이라고 한다.

이민자의 삶은 마치 남의 집에서 더부살이를 하는 것처럼 늘 소외감과 피해의식을 가지기 쉽다. 타지에서 오래 산다고 그곳이 고향이 되는것은 아니지만 어느 순간 굳에 닫혀 있던 마음이 열리고 시인은 낯설겜ㄴ 여겨졌던 세상과 인간에 대해 점차 애정을 갖게 된다. 그러면서 늘 손님처럼 떠돌던 삶도 차츰 뿌리를 내려 안정감을 갖게 된다.

 

4. 장석렬 시인- 자아와의 화애 및 고향 모색

 

봄이 가까이 오면 이곳에도 샛바람 끼어 불어/ 꽃 피는 한 철 분주가 시작된다/ 겨우내 먼 길 걸어와 피곤한 사람들/ 그러나 외길이었기에 눈망울은 맑다/ 대륙과 섬 사이를 멋대로 오가는 갈매기 보며/ 두고온 반쪽 하늘과/ 거기 어두운 구름의 얼굴을 떠올린다/ 돌이켜보면 조국은 영원 저쪽의 이름/ 밤새워 애처롭게 소중하게 붙들고 온 것 같은데/ 지금은 깨어난 꿈조각처럼 아무 것도 남지 않았다/ 낯선 색깔의 얼굴들이 낯선 바람을 안고 도는/ 직각의 거리 모퉁이에 서서/ 작고 따뜻한 소원들이 아랫목 온돌같이 무르익는/ 둥근 치마 저고리의 넉넉한 공간을 생각한다/ 이 거리 어느 곳 나의 발목 굳게 세워볼/ 낯익은 온기를 기대하는 무작정 같은 희망/ 머리를 숙이면 강물 흐르는 소리 귓가에 들리고/ 어디쯤일까, 강물처럼 가다보면 닿게 될/ 안마당 꽃향기 가득한 대문간이/ 멀리 고향 봄하늘 보푸라기처럼 뽀얗게 떠오른다- <입춘 외길> 전문

70년대를 온 몸으로 느끼면서, 고향상실을 경험한 시인에게 고향은 고향으로서의 의미와 그 정체성을 잃어버려 더 이상 실제적인고향이 존재하지 않는다. 돌아갈 고향이 없는 시인은 타향의 고향화를 통해 고향을 모색한다.

구세계와의 고리를 끊어버리고, 새로운 고향 모색, 이는 앞선 세명의 시인의 고향과의 연결 속에서, 고향을 닮은 '타향의 고향화'를 만드는 것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어떻게 다를까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