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향의 정치학-피에르 부르디외의 '구별짓기' 읽기와 쓰기』부르디외, 홍성민, 현암사, 2012.

 

피에르 부리디외의 '구별짓기' 읽기와 쓰기/홍성민 지음


p38 부르디외의 서문은 칸트에 대한 비반으로부터 시작한다.

플라톤

자연의 질서는 신이 창조, 예술이란 결국 자연을 모방할 뿐(재현), 본질에 도달할 수 없다

이데아의 세계가 보편자로서 존재

아리스토텔레스

모방은 인간의 창조적 본능, 자연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예술을 인지하는 것 자체가 인생의 즐거움.

사물내에 개체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로 보편성을 갖는다

보편성과 개체성의 대립은 고대 철학에서부터 논쟁의 핵심 대상이었다.

근대 사상사에서 칸트는 <판단력 비판>에서 미학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

 

칸트


● 개인들은 사물을 바라보면서 일차적으로 감각판단에 의존한다, 그런데 보통 사람들의 개체적인 감각판단은 반성적 판단으로 귀결되어 보편적 미학의 수준에 이르게 된다.

개체적인 감각판단 → '반성적 판단' → 보편적 미학

그 이유를 칸트는 사람들은 '공통감각'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시말하면 보편적으로 아름다움을 인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나이 혹은 신분을 떠나, 똑같이 미적 쾌락을 느낄수 있는 기준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는 그가 "인간의 순수 이성이 자연의 법칙과 같이 인간성에 본래적으로 존재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감각적 판단을 보편성으로 승화시키는 공통감각은 인간 본연의 능력이라 본다.

그러나 부르디외는 이러한 칸트의 미학 이론에 반대한다. 그에 따르면 사람들이 그림이나 자연 풍광을 보면서 느끼는 감성들은 계급적으로 차이가 난다. 계급적이란 말은, 한 사람의 미학적 취향이 교육과 훈련에 따라서 다르게 길들여진다는 점을 가리킨다. 게다가 미학적 취향이 사회적으로 옳음/그름의 형식으로 작용하도록 강제력을 띠게 된다는 것이다.

 

칸트

미학적 판단의 궁극적 기원은 인간의 본성에 있다

진리, 윤리, 미학은 완전히 분리된 서로 다른 영역이다

부르디외

미학적 판단의 기준이 사회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리되어 있지 않다. / 미학적 취향은 현실세계에 대한 도덕-윤리성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부르디외에 의하면, 교육 수준의 정도가 예술에 대한 고급 취향/ 대중 취향을 구별하는 계기가 되며, 거꾸로 예술에 대한 취향이 계급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수 도 있다.

서로 간에 아무런 관련도 없어 보이는 일상 생활의 실천들이 사실은 매우 밀접한 취향의 논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상의 문화가 사람들의 쾌락과 감성을 지배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감성의 형성 과정은 사회적 분류 체계로 작동함으로써 사회적 지배를 강화시키고 사람들의 저항의식을 억압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국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문화는 계급 지배를 유지시키고, 상층계급의 지배를 강화시키는 보이지 않는 기제이다. 이렇게 보면 한 사회에서 상식적인것으로 인정된 평가의 범주를 바꾸고 이를 통해서 사회 세계 자체를 바꾸는 것이 계급투쟁의 중요한 목표가 된다.

+ Recent posts